2025.11.28 (금)

  • 구름조금동두천 -1.5℃
  • 맑음강릉 4.9℃
  • 맑음서울 -0.3℃
  • 맑음대전 3.1℃
  • 맑음대구 4.7℃
  • 맑음울산 5.2℃
  • 구름많음광주 6.2℃
  • 맑음부산 6.3℃
  • 구름많음고창 5.5℃
  • 구름많음제주 9.9℃
  • 구름조금강화 0.0℃
  • 맑음보은 1.2℃
  • 맑음금산 3.0℃
  • 구름많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6.9℃
기상청 제공

사회

하동군, 1조 3천억 원 LNG 복합발전소 유치 성공

하동화력발전소 폐쇄에 대응한 대체 에너지원 적극 유치의 결과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하동군은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발맞춰 폐쇄 예정인 하동화력발전소 2‧3호기를 대신할 LNG 복합발전소가 지난 27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기위원회에서 최종 승인됐다고 밝혔다.

 

당초 군은 LNG복합발전소를 대송산업단지 내 유치를 위해 노력했으나, 2024년 7월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역위원회에서 대송산업단지 개발계획을 최종 보류하면서 대송산업단지 내 LNG복합발전소 건립은 사실상 무산 됐다.

 

한국남부발전(주)는 LNG복합발전소 건립 장소를 수도권으로 검토했으나 하동군은 발 빠르게 건립 장소를 전원개발구역인 하동화력본부 내로 변경 협의하고, LNG복합발전소 유치를 위해 △부군수를 위원장으로한 화력 폐쇄 대응 하동군 TF팀 운영 △서천호 국회의원 협조 요청 △사천 하동 남해 행정협의회를 통한 공동 대응 추진 협조 △하동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조사 분석 연구용역 실시 △경상남도 석탄발전소 폐지 대응 워킹그룹서 참여 건의 △LNG복합발전소 건립 관련 주민설명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방문 LNG복합발전소 건립 확정 요청 등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하동군은 2024년 12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주재의 석탄발전전환협의체에 참석하여 LNG복합발전소 하동군 건립 승인 요청은 물론, 정의로운 전환특별지구 지정 건의,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소속 통과, 화력폐쇄 부지 및 시설물 활용 방안에 대해 건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지난 11월 17일 하동화력폐쇄에 대비해 한국남부발전과 상생 협약을 체결하여 하동화력발전소 폐쇄에 대응한 초석을 마련했다.

 

이러한 하동군의 노력으로 유치된 LNG복합발전소의 효과는 대규모 국책사업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입, 건설 및 운영 기간 33년간 936억 원의 각종 지원금 등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석탄화력 폐쇄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아무런 대안없이 폐쇄가 이뤄질 경우 하동은 심각한 경제적 충격에 직면하게 된다”며, “LNG복합발전은 친환경성과 효율성을 모두 갖춘 대체 에너지원으로, 기존 전력산업 기반을 유지하면서 일자리와 지역경제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하동군에는 총 8호기의 화력발전소가 있으며 2026년 6월부터 하동화력발전소 1호기를 시작으로 6호기까지 순차적으로 폐쇄할 예정이다. 이번 LNG복합발전소 유치 추진 외에도 옥종면의 700MW의 양수발전소 공모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탈석탄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에너지 거점도시로 거듭나는 구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