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글 / 김성기 아시아수채화연맹고문, (사)목우회 자문위원) "모더니즘 그 이후"의 시대에 살고 있는 화가들에게 과제로 남는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는 기존의 미적 관념에서 벗어나 또 다른 자신단의 내용과 형식 등을 창조해야 한다는 점이고 이는 작가에게 커다란 고뇌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현대에 들어와서 재료와 표현 영역, 기법 등 여러 면으로 발전하고 있고 대중적이면서도 일반적으로는 깊이 다가가기는 힘든 난이도 높은 회화로 인식되며 그 자체만으로도 다른 회구들과 구분되어 작가의 정체성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도구가 되었다. 모든 예술은 사람과 삶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서민적이고 대중적인 한국인들의 평범한 일상속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들을 찾아내며 과거와 현대라는 시간적 개념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해 오고 있는 박진양 작가의 인간적이고 매력 있는 수채화 작품들을 다시 볼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 오래전부터 동양의 지성들은 민족의 정체성(Identity)을 확립하면서 이것들을 들로 삼아 서구화, 현대화하는 방법들을 모색해 왔다. 한국에서는 동도서기(東道)가 그것인데 박진영 작가의 주된 작품들과 최근 작업을 보면 여러 가지 면
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현지시간 11. 16, 목) 오전 디나 볼루아르테(Dina Boluarte) 페루 대통령과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페루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대통령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페루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올해 양국 수교 60주년을 맞아 8년 만에 개최된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한국과 페루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임을 재확인하고,△방산, △공급망, △개발 협력,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대통령은 양국이 그간 공군 기본훈련기(KT-1P), 해군함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산 협력을 진행해온 것을 평가하고, 페루 정부가 차륜형 장갑차 및 신형 전투기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간 우수성을 입증해 온 우리 기업의 장갑차와 FA-50(경전투기)에 대한 페루 측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구리, 은, 아연 등 광물자원이 풍부한 페루와 향후 광물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오늘(현지 시각 11. 15, 수) 현지 동포를 초청해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했다. 이번 간담회는 샌프란시스코와 그 인근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150여 명의 동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올해 네 번째로 미국을 방문했다면서, △지난 4월 국빈 방미 시의 ‘워싱턴 선언’ 도출 및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 비전 구체화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의 한미일 3국 협력 체계 출범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의 격차 해소와 상생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 제안 등 그간의 방미 성과를 소개하고, 이번 APEC 정상회의에서도 한미 양국은 혁신과 포용을 통해 국제사회와 연대해 나가겠다는 메시지를 발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은 한미동맹 70주년인 올해는 양국이 ‘행동하는 동맹’으로서 새로운 동맹 70년을 향해 첫발을 내디딘 역사적인 출발점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했다. 또한 대통령은 120년 전 하와이에 도착한 한인들이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미국 본토에 정착했음을 상기하고, 미국 본토 한인 역사의 출발점인 샌프란시스코 동포들이
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현지시각 11. 15, 수) 오후 APEC CEO Summit 행사 기조연설을 통해 ❶교역, 투자와 공급망, ❷디지털, ❸미래세대 등 세 분야에서 APEC 역내 상호 연결성 제고를 위한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한국의 APEC 기여 의지를 표명했다. 먼저, 대통령은 APEC이 그간 역내 무역장벽을 낮추고 회원국의 역량 강화에 힘써왔다고 평가하고, 다자무역체제의 수호자로서 APEC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회복력 있는 공급망이 다자무역체제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APEC 내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등 공급망 회복력을 위한 각 회원국의 경험을 공유하는 등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APEC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대통령은 연결성과 즉시성이 핵심인 디지털 심화 시대의 실현을 위해서는 데이터가 국경 간 막힘없이 연결되고, 국가 간 디지털 격차가 사라져야 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규범과 질서가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회원국 간 경제발전 수준뿐 아니라 사회, 문화, 지리적 특성이
By Kayla Lee KB Kookmin Bank, a strategic partner of GLN International, signed an MOU on Nov. 15 with SCB (Siam Commercial Bank) to provide enhanced financial services for customers using 'KB Wallet', the digital wallet on the KB Kookmin bank's banking application, while traveling in Thailand. Under this new agreement, KB and SCB will collaborate on developing a novel financial model for cross-border payment infrastructure in both Korea and Southeast Asia. They will share financial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expertise. Initially, they will cooperate on joint marketing efforts for customers
By Kayla Lee Kim Eui-seung, 1st Deputy Mayor for Administration of Seoul City, visited the workplace of public servants and listened to their voices, and gave a lecture to explain Seoul Mayor Oh Se-hoon's 'Together Attractive, Creative Administration Strategy' in his term. Deputy Mayor Kim attende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the 8th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Branch of the Seoul Public Employees' Union' held at 4 p.m. on Nov. 10 at the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in Yangjae-dong, Seocho-gu, Seoul, and delivered a special lecture on 'Creative Administrat
시민행정신문 이정 기자 |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 공무원들이 일하는 현장을 찾아 목소리를 듣고 강연을 통해 민선 4기 오세훈 서울시장의 '동행매력 창의행정 전략'에 대해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김의승 행정1부시장은 10일 오후 4시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 8대 보건환경연구원지부 출범식'에 참석해 노조 간부 및 조합원을 대상으로 노조와 함께 하는 창의행정'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이와 관련해 박상철 서울시공무원노조위원장은 행정1부시장이 현장 단위노조 지부까지 와 특강을 한 점을 두고 "20년 노조 역사상 처음"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김 행정1부시장은 강연을 통해 "글로벌 세계화에서 서울특별시가 세계 5대 도시 안에 들어가기 위해선 특별한 창의가 아닌 일상에서, 대시민서비스를 보다 간편하고 만족도가 높은 행정을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노사가 함께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급변하는 시대 IT강국을 뛰어 넘어 전문성을 키우고 약자와 동행하는 매력적인 '동행매력' 특별시를, 공직자가 자부심을 갖고 만들어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023년 동행·매력 창의행정 전략으로
By Lee Kap-soo The 26th World Peace Art Exhibition Award Ceremony was successfully concluded on November 7 at the Hangaram Museum of Art in Seoul, Korea, with an invitational exhibition of World Peace Art leaders and outstanding artists. The World Peace Art Exhibition, which is celebrating its 26th edition this year, is positioned as a unique art event that can flexibly develop discourses on the environment, ecology, life, civilization, society, science, and thought based on its unique environment. The 26th World Peace Art Exhibition Award Ceremony, which is held annually with the aim of contr
시민행정신문 이정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1월 9일 오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불법사금융 민생현장 간담회를 주재했다. 불법사금융 근절은 대통령이 민생안정의 하나로 여러 차례 강조해 왔으며,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오늘 간담회는 고금리와 신용 부족으로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난 서민과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 관계부처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불법사금융에 강력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하에 마련됐다. 간담회장에 불법사금융 피해자가 등장하자 대통령은 “와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어려운 발걸음을 한 참석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불법사금융업자로부터 빚 독촉을 견디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한 세 모녀 사건을 접하고 너무나 안타깝고 마음이 아팠다”고 언급하면서, “민생 약탈 범죄로부터 서민과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고금리 사채와 불법 채권 추심은 정말 악독한 범죄”이며,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하고 피해구제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대통령은 옷 가게를 운영하던 30대 여성이 100만 원을 빌렸다가 최고 연 5,200%의 살인적 금리를 요구받은 사례를
시민행정신문 이존영 기자 | 마늘은 곰이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듯 우리에게는 친숙한 식품이고, 김치, 찌개류 등 모든 요리에 들어가는 것이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이다. 그러나 마늘은 항상 껍질을 까서 먹고 껍질은 버려졌다. 그러나 마늘껍질에 대한 성분들이 각종 논문을 통하여 발표되면서 마늘껍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마늘(garlic)은 중앙아시아가 원산인 백합과(白合科) 중 가장 매운 식물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극동(極東)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마늘은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며, 마늘 전체에서는 알싸한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마늘껍질에는 여성 유방암 세포가 증식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발표가 있어 마늘껍질이 주목받고 있다. 수년간 마늘껍질을 연구하고 있는 “머이리 컴퍼니” 전윤희 대표는 의성 출신으로 마늘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몸소 익히면서 자랐다고 한다. 그러다 중년에 접어들어 마늘껍질이 버려지는 것을 보고, 직접 말리고, 선별하면서 마늘껍질의 성분들을 통한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던 중 경북에서 로컬 사업에 선정되면서 마늘껍질 차, 마늘껍질 바비큐 소스 등을 개발하여 바비큐 요리 체인화 건강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