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전라남도는 청년마을의 비즈니스 모델을 찾기 위한 2025 전남형 청년마을 해커톤 행사를 26일까지 2일간 목포 괜찮아마을에서 개최했다.
해커톤은 해커와 마라톤의 합성어로, 짧은 시간에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것이다.
청년마을 사업은 청년들에게 일정 기간 지역에 머물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탐색, 일거리 실험, 지역사회 관계 맺기 등을 통해 청년이 지역에 뿌리내리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다.
이번 행사는 청년마을, 시군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로컬청년전문가의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청년마을의 비전과 구체적 방향성을 정해 마을의 지속 성장과 자립을 확보하기 위해 진행됐다.
컨설팅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이번 행사에 이어 9월 2~3일 2차례 진행되며, 로컬 청년 전문가의 컨설팅과 팀별 발표를 통해 각 마을의 비전과 성장 전략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특히 전남도는 전국 최초로 중앙부처 멘토단, 중소벤처기업부 ‘강한 소상공인’ 출신의 전문가단을 컨설팅단으로 구성해 2025년 6월부터 2개월간 개별 컨설팅을 진행하고, 매달 1대1 컨설팅을 통해 과제를 지속 점검한 후 연말에 ‘청년마을 비전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남형 청년마을이 행안부형 청년마을, 강한 소상공인, 사회적·마을기업으로 성장할 출발점 마련이 기대된다.
전남도는 이번 해커톤을 시작으로 청년마을이 사업화와 일자리 창출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행사에 참여한 김유솔 청년마을 대표는 “해커톤을 통해 우리 마을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찾을 수 있었다”며 “이번에 도출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청년과 함께 창업모델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윤연화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청년마을은 청년이 스스로의 삶을 설계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돌파구와 같은 공간”이라며 “이번 해커톤을 계기로 청년이 자신있게 도전하고, 청년이 머물고 싶은 전남을 실현하기 위해 힘껏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청년이 모여 꿈을 키우고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토록 하기 위해 ‘전남형 청년마을’ 17개소를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청년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2022년부터 460개의 청년단체에 41억 원을 지원하는 등 청년공동체 활성화 플랫폼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