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제주시는 인구감소 대응과 청년 지원 강화를 위해 총 60개 사업에 2,407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7월 하반기 인사에서 ‘인구청년통계팀’을 신설하고, 부서별로 개별 추진하고 있던 인구·청년 관련 사업을 하나의 종합전략으로 통합하여 3대 전략·11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목표는 ‘모두가 행복한,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속가능한 제주시’다.
이번 계획은 도에서 수립한 ‘제2차 인구정책 종합계획(2025~2029)’, ‘2025년 제주 인구정책 시행계획’과 연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
2025년 7월 말 기준 제주시 인구는 50만 3,886명이며, 2024년 한 해 순유입 인구는 전년 대비 3,182명 감소했다.
특히 원도심과 읍면 지역의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합계출산율은 0.84명(2024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6.8%에 달한다.
청년(19세~39세)인구는 2020년 13만 2,180명(전체 인구의 26.8%)에서 2024년 11만 8,467명(24.3%)으로 줄어 인구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 원도심 및 읍면지역 활력 제고, 청년 유입 활성화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우선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해 저출생 대응, 고령인구의 경쟁력 강화, 1인가구·다문화가정 지원에 중점을 둔 3개 과제(29개 세부사업)를 선정했으며, 사업비는 2,207억 원 규모다.
임신·출산·육아 단계별 지원과 노인 일자리 확대, 증가하는 1인 가구와 다문화가정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촘촘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고립 및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사회적 연결망을 강화하기 위해 주민복지과에 ‘1인가구지원팀’을 신설했다.
원도심 및 읍면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상권활성화 사업, 도시재생 및 빈집 정비사업, 지역 워케이션·런케이션 활성화 사업 3개 과제(11개 세부사업)를 선정했으며, 사업비 규모는 91억 원이다.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 특성에 맞춘 워케이션·런케이션 프로그램, 관광 활성화 등을 통해 생활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청년 유입 활성화를 위한 청년 지원책도 다각화한다. 청년 유입을 도모하기 위해 5개 과제(20개 세부사업)를 선정했으며, 사업비는 109억 원 규모다. 청년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 등 분야별 지원과 함께, 2025년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행정안전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로컬브랜드 창출 사업, ▲한국산업단지공단 구좌·금능 농공단지 아름다운 거리(청년 친화형 거리)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또한, 2025 고향사랑기부제 연계 사업으로 도외 거주 청년 대상의 ▲‘청년드림, 제주愛올레(olle)’한달살이 거주비 지원도 시행한다.
이와 함께, 경제소상공인과에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과 로컬브랜드 창출사업을 전담하는‘로컬브랜드팀’도 지난 하반기 인사에 신설했다.
제주시는 단기 계획에 그치지 않고, 읍면동 단위 지역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전략으로 확장해 나가는 한편, 관계부서 의견 수렴을 통해 2026년도 예산 반영 준비를 진행할 계획이다.
강기종 자치행정국장은 “이번 계획에는 현재 제주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을 담았다”며 “도정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매년 사업별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감소 대응과 청년지원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