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시, 홍릉 강소특구 2단계 본격 추진…'기술창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1단계 사업 ‘최우수’ 마무리…’26년부터 5년간 200억 원 투입해 후속사업 착수

 

시민행정신문 이세훈 기자 | 서울시가 K-바이오산업의 거점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의 2단계 사업을 2026년부터 본격 추진한다. ‘벤처스튜디오’ 도입, 창업 인재 1,900명 양성 등 전주기 창업 지원체계를 구축해, 서울 유일의 강소특구인 홍릉을 글로벌 바이오・의료 메디클러스터로 도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는 서울 성북구 안암동・정릉동과 동대문구 회기동 일대 약 1.38㎢ 규모로 지난 2020년 8월에 지정・고시됐다. KIST,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의 기술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배후 공간에 위치한 서울바이오허브, BT-IT융합센터 등이 바이오・의료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강소특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지정한 소규모 고밀도 연구개발 집약지로, 대학·출연연 등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한 기술사업화와 창업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 맞춤형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제도로, 현재 전국 14개소가 지정돼 있다.

 

앞서 시는 총사업비 210억 원(국비 154억, 시비 56억)을 투입해 1단계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기술이전, 창업 지원, 투자유치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으며, 과기부에서 주관한 2022년도와 2024년도 연차 평가에서 모두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올해 4월 진행한 최종 종합평가 결과에서도 2단계 특화발전 지원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했다.

 

최근 5년간 운영된 GRaND-K 창업학교는 예비・초기 창업자들이 기술성, 시장성, 혁신성을 키우도록 맞춤형 교육과 VC 연계 데모데이를 제공하며, 총 251개 스타트업을 발굴해 426억 원의 투자유치를 지원해왔다.

 

주요 입주기업들의 대형 기술이전 부문에서의 우수한 성과도 1단계 사업의 성공을 뒷받침하고 있다.

 

‘큐어버스(대표 조성진)’는 KIST 출신 연구소기업으로, 먹는 치매 치료 후보물질 ‘CV-01’을 개발해 2024년 10월 이탈리아 제약사 ‘안젤리니파마’와 5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2025년 1월 기준 누적 투자유치액은 340억 원에 이르며, 최근 미국 FDA로부터 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받아 2027년 IPO를 목표로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마고웍스(대표 김영준)’는 KIST 분할설립 기업으로 AI 기반 3D 치과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지에 글로벌 사업을 본격 확장하고 있다. 2025년 기준 누적 투자유치액은 380억 원에 달한다.

 

‘네오켄바이오(대표 함정엽)’는 KIST 기술 출자 회사로 의료용 대마(Hemp) 성분에서 골관절염 치료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의 아기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되며, 1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레디큐어(대표 정원규)’는 경희대 기술지주 출신 연구소기업으로, 저선량 방사선을 활용한 치매 치료 의료기기를 개발 중이다. 중소벤처기업부 딥테크 팁스 및 디딤돌 과제에 선정돼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엔도로보틱스(대표 홍대희/김병곤)’는 고려대 기술지주 출신 연구소기업으로 소화기 내시경 호환 수술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2024년 기준 누적 투자유치액은 180억 원을 달하며 기술 상용화에 힘쓰고 있다.

 

이에 시는 2021년부터 추진해 1단계 사업이 성공적으로 종료됨에 따라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총 200억 원 내외로 투입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2단계 사업에서는 최근 첨단기술과 바이오헬스의 융합화 경향을 반영해 홍릉을 첨단 바이오헬스 중심지로 기술사업화 촉진과 혁신생태계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신규 인프라 조성, 기획형 창업 지원, 인재 양성, 기술이전 사업화, 규제 혁신, 투자기반 구축, 글로벌 진출입 지원 등 다양한 과제를 포함한다.

 

서울AI허브(양재), 서울 마곡 R&D센터 등 市 거점시설뿐만 아니라, 바이오・의료 분야와 연관된 전국의 다른 특구 및 바이오・의료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 체계를 확대해 광역 혁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

 

또한, 벤처스튜디오(Venture Studio) 모델 등을 도입해 창업 아이디어 발굴부터 시장 진입까지 전(全)주기 창업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전문인력 및 창업 인재 1,900명을 양성한다.

 

이와 함께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R&BD 과제와 규제혁신협의체를 운영한다. 기술사업화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신속히 해소해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아울러, 국내외 대·중견기업과 창업기업 간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해 공동연구,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특구 내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홍릉 강소특구 2단계 사업은 우수한 원천기술과 인적자원, 그리고 연구중심병원의 임상시험 인프라를 바탕으로 바이오의료 분야 혁신 창업과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한층 더 고도화할 것”이라며, “단순한 연장이 아닌, 전주기 창업지원과 글로벌 진출 기반을 강화하는 2단계 사업을 통해 홍릉 일대가 바이오・의료 분야 글로벌 메디클러스터(메디컬+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