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회

자살, 혼자만의 죽음이 아닙니다..노원구, 선택과 집중으로 ‘맞춤형 자살 예방’에 총력

보건, 복지 역량 통합하여 위험대상자 조기 발견, 맞춤형 서비스로 연계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서울 노원구가 최근 자살률 증가 추세가 심각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해 총력 대응한다고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3년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은 27.3명으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구는 노원지역 자살률 역시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에 주목하여 종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2023년 노원구 자살률은 24.1명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높다.

 

먼저 구는 부구청장을 단장으로 하는 자살예방추진단(TF)를 구성했다. 지난 2010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살예방전담팀을 신설해 사업을 펼친 이후 체계를 정비해 새로운 동력을 얻겠다는 복안이다. 보건소 생명존중팀 위주의 사업추진을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전(全) 부서를 아우르는 추진단을 만든 것이 특징이다.

 

구의 종합대책은 ▲자살위험군 조기 발굴 강화 ▲지역 중심 통합적 자살 예방 ▲구민이 만드는 생명존중 환경 조성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세부적으로는 36개 사업으로 추진하는데, 여기에는 신규 사업 11개와 기존 사업을 보완하여 강화한 사업 5개가 포함된다.

 

신설되는 사업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생명존중 안심마을’ 사업이다. 생명존중 안심마을은 지역사회중심의 자살예방사업으로 동 단위로 지역 내 다양한 자원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한다. 자살위험군을 발굴하고 자살위험 수단을 차단하는 등 주민들이 서로 돌보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올해 3개 동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6개 동, 2027년에는 10개 동으로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50대 이상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띈다. 독거가구의 자살률은 비독거가구의 3.5배에 달하는 데다가, 남성의 경우 50대 이상 연령 구간에서 자살이 부쩍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에 혼자 사는 중장년층이 요리, 식사, 야외 활동을 함께 하며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또한 성별과 무관하게 자살률이 높은 70대 이상 독거 어르신을 대상으로 자살위험군을 조기 발견해 필요한 보건복지 서비스로 연계하는 한편, 경로당 244개소에서 생명존중 교육을 실시한다.

 

파악된 자살 원인 중 가장 많은 정신건강 상의 문제에 적절한 개입을 위한 기관의 노력도 더해진다. 노원구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유관기관의 협력 네트워크가 강화된다. 청년 관련 기관, 복지관, 자활센터, 신용회복위원회 등과 함께 자살위험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한편, 공공병상 협약병원, 대학 병원 등을 통해서도 대상자가 신속하게 관리망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발견된 대상자들에게는 자살위험성평가 이후 8주 위기 상담과 안부 전화가 이어질 예정이다.

 

구는 종합대책 수립 후 보건, 복지, 민-관의 역량을 총동원해 연간 자살자 수를 100명 이하로 낮추기를 목표로 삼았다. 구에서 생명 존중 사업을 본격 시작한 2009년 이래 가장 낮은 연간 자살자 수는 103명이었다.

 

오승록 구청장은 “높은 자살률이라는 통계의 이면을 살펴보면 주변의 관심과 도움, 정책적 지원으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힌트도 함께 발견할 수 있다”며, “자살도 사회적 죽음, 자살 예방도 사회적 책무라는 일념으로 자살을 막는 지역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