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서울 동대문구는 28일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관에서 ‘기후변화대응 리빙랩 성과보고회 및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동대문구와 동대문구탄소중립지원센터(센터장 구자용)가 공동 주최하고, 서울시립대학교 융합환경계획연구실(지도교수 박찬)이 주관했다.
1부에서는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탄소 TALKS 동대문' 분과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두 개 리빙랩의 주요 결과가 발표됐다. ‘탄소중립 행동실천 리빙랩’에 참여한 30명의 주민들은 4주간 가정 내 전력 사용 패턴을 실험한 결과, 냉방기기 사용시간을 주당 최대 60% 이상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이를 토대로 ‘가정용 에너지 절약 가이드라인’ 10개 항목을 도출했다.
또한 ‘폭염경험 리빙랩’에는 폭염과 집중호우 등 기후위험을 직접 겪은 주민 30명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개인의 경험을 시각화한 ‘기후취약 영향사슬(Impact Chain)’을 통해 지역 내 위험요인과 정책 개입 필요 지점을 도출했다.
2부 정책포럼은 박찬 서울시립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으며,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조경두 박사(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 조한나 박사(한국환경연구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구자용 탄소중립지원센터장 패널로 참석했다.
‘왜 지역 기후대응에 주민참여가 필수적인가’를 주제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행정 중심의 일방적 추진에서 벗어나 주민이 정책의 공동 주체로 참여하는 구조 전환, 지자체·대학·주민이 상시 협력하는 거버넌스 플랫폼 구축, 리빙랩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정책 근거로 활용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 체계화의 필요성 등이 논의됐다.
이날 포럼에서 논의된 내용은 향후 동대문구의 기후취약계층 보호대책, 탄소중립 실천운동, 지역 에너지 절감 정책 등에 단계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기후위기 대응은 행정이 앞장서되 지역사회와 손을 맞잡을 때 비로소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다.”라며 “주민·대학·연구기관이 함께 만들어가는 생활 속 탄소중립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