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부산시'칠(漆) 분야'에서 오랜 기간 전통 기법을 이어오며 지역 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한 윤성룡 윤슬 나전칠기 대표를 2025년도 '부산광역시 공예명장'으로 오늘(15일) 선정했다고 밝혔다.
'부산광역시 공예명장'은 공예 문화산업 현장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 기술을 보유하고, 장기간 공예 기술 발전과 공예인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시민에게 주어지는 영예로운 자격이다.
시는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총 20명의 공예 명장을 외부 전문가의 서류 및 현장 심사, 부산시 공예문화산업심의위원회 종합심사를 통해 선정했다.
공예명장으로 선정되면 ▲공예 명장 칭호 부여 ▲개발․생산장려금 1천만 원 지원 ▲공영주차장 주차 요금 50퍼센트(%) 감면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올해 '칠(漆) 분야' 공예 명장으로 선정된 윤성룡 윤슬 나전칠기 대표는 장애를 극복하고 오로지 '나전칠기' 한 길을 걸으며 전통 공예 기술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국내외에 널리 알린 장인이다.
윤 대표는 ‘나를 죽인 것도 나전이었지만, 나를 살릴 것도 나전밖에 없다’는 신념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케이비에스(KBS), 엠비씨(MBC), 이비에스(EBS) 등 주요 방송에 출연해 우리 전통공예의 가치를 전파했다.
또한 시 장애인기능경기대회 나전칠기 심사위원으로서 후진 양성에도 힘썼으며, 다수의 예술상, 대상, 장관상 등을 수상해 역경 속에서도 예술을 통한 나눔을 실천한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이번 명장 선정을 통해 지역 공예인의 자긍심을 높이고, 전통 기술의 계승과 공예산업 활성화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지난해 '섬유 분야' 공예명장으로 선정된 박정숙 명장은 지원금을 활용해 전통 염색 기법을 활용한 천을 제작하고 부산전승공예보존회 정기전에서 선보여 공예 명장 제도의 지속적 성과를 입증했다.
한편, 시는 ▲목칠 ▲도자 ▲금속 ▲섬유 ▲종이 ▲기타공예 총 6개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부산광역시 명예공장'을 매년 선정하고 있다.
신청 자격은 ▲공예문화산업 분야에서 15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서 신청일 현재 부산시에 10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자 ▲공예문화산업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 기술을 보유했다고 인정되는 자 ▲공예문화산업 발전이나 공예인의 지위 향상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선정된다.
다만,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되거나, 무형문화재에 지정된 경력이 있는 자는 제외된다.
박형준 시장은 “올해 공예명장으로 선정된 윤성룡 대표는 장애를 이겨내며 전통 나전칠기 분야의 명맥을 지켜온 진정한 장인으로, 뛰어난 숙련 기술과 예술혼을 바탕으로 지역 공예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라며, “앞으로도 우리시는 공예 명장 제도를 통해 지역 공예인의 자긍심을 높이고, 전통 공예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