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고창군이 2025년 한 해 동안 농업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 규모는 전국 최대이고, 시설하우스 면적과 농작물 재해보험 지급실적은 전북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친환경 쌀 분야에서는 서울시와 제주도 학교급식에 전국 최대 규모로 공급하는 등 고창이 명실상부한 농업 선진지역으로 자리매김했다.
#외국인 근로자 3천명 시대, 농촌 인력난 해결의 모범사례
올해 고창군 농정의 가장 큰 성과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다. 2023년 600명에서 시작해 2024년 1800명, 올해는 3000명까지 계절근로를 늘렸다. 단순히 인력만 데려오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는 것이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농촌인력 적정 인건비 운영 조례'를 만들어 농가 부담을 줄였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관리센터와 전용 기숙사까지 세웠다. 덕분에 농가들은 하루 평균 3만원씩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입국부터 출국까지 모든 과정을 군에서 책임지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 농가들의 번거로움을 크게 덜어주고 있다. 전주출입국사무소와 협력해 외국인 등록 업무도 대행하고, 근로자들을 농장까지 직접 데려다주는 맞춤형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시설하우스 규모 전북 1위, 현대농업 기반 다져
고창군의 시설하우스 면적은 올해 1260㏊로 전북에서 가장 넓다. 이는 전북 전체 시설하우스 면적의 22%에 해당하는 규모로, 올해도 33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14.1㏊르 규모의 시설하우스를 새로 짓고 51개 농가가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현대식 시설하우스는 날씨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고창군은 다른 지역보다 지원 규모가 커서 농가들의 만족도가 높다.
#농작물 재해보험으로 농가 위험 최소화
기후변화로 자연재해가 늘어나면서 농작물 피해도 증가하고 있지만, 고창군은 이런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농작물 재해보험 지급실적에서 전북 1위를 기록했다. 9369개 농가가 1만4408㏊에 농작물 재해보험을 가입하여 4649개 농가가 5745㏊ 면적에 보험금을 받았다. 수박, 단호박, 고추 등 52개 품목에 대해 총 130억원 규모의 농작물 재배보험 사업을 지원하여 농가들이 자연재해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됐다.
#친환경 쌀, 서울과 제주 학교급식 최대 공급 산지
고창군은 친환경 쌀 분야에서도 전국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서울시와 제주도 학교급식용 친환경 쌀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공급하고 있으며, 올해는 작년보다 40% 늘어난 2176톤을 공급할 예정이다. 친환경 쌀 재배면적도 지속적으로 늘려 올해는 312㏊까지 확대했다. 이는 전북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고창군이 다른 지역보다 친환경 쌀 농가 지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친환경쌀 재배농가에 대한 지원의 경우 다른 지역은 보조를 50~80% 지원하지만 고창군은 90%를 지원한다. 친환경 쌀 생산단지 수매장려금도 다른 지역대비 10배 가까운 6억원을 지원한다. 심지어 친환경쌀 배송비까지 별도로 지원해주는 곳은 고창이 유일하다.
#청보리밭 축제, 관광객 두 배 늘어 지역경제 활성화
고창 청보리밭 축제는 이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봄축제로 자리잡았다. 올해 축제에는 작년보다 두 배 넘게 늘어난 78만9000명이 다녀갔고, 경제효과도 284억원으로 작년 대비 48% 증가했다. 63㏊ 규모의 청보리밭과 유채꽃밭이 만들어내는 장관은 이제 전국적인 명소가 됐다. 23일간 진행된 축제기간 동안 개막행사, 체험행사, 보리밭 사잇길 걷기, 문화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이번 성과는 농가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공무원들의 헌신이 함께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앞으로도 농가소득을 높이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혁신적인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외국인 인력 지원 체계 강화, 첨단농업 기반 확충, 기후위기 선제 대응, 친환경 농업 확대, 농촌관광 활성화 등 핵심 분야에서 전국을 선도하는 모델을 만들겠다”며 “고창군이 대한민국 농업정책의 중심지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군민과 함께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