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4·3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 논의에 본격 착수한다.
제주도는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제주4·3평화재단,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공동으로 오는 25일 오후 2시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 토론회’를 개최한다.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은 지난 8월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제주7대 공약 15번 과제’로 반영됐으며,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2억 원이 포함돼 제도적·재정적 지원 기반을 확보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록관 건립 추진을 본격화하기 위한 첫 단계로, 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의 건립 및 운영 사례를 참고해 향후 기록관의 역할과 기능, 운영 방향에 대해 전문가와 지역사회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는 사례발표, 주제발표, 전문가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홍인화 전(前)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이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건립과 운영 성과’를 주제로 경험을 공유한다. 이어 제주4·3 진상규명을 위한 군법회의 수형인명부를 최초 발견한 명예 제주도민인 김재순 전(前)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이 ‘기록관이 건립되면 무엇을 담을 것인가’를 주제로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속과제를 제시한다.
전문가 토론은 유철인 제주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하며, 하성용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장, 박찬식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장,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홍인화 전(前) 관장, 김재순 (前) 관장이 참여해 기록관 건립의 비전과 추진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4·3 유족과 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실질적인 건립 방안을 모색할 예정으로, 별도의 신청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 할 수 있다.
김인영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은 4·3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이를 교육과 연구의 핵심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간이 될 것”이라며 “국정과제 반영과 예산 확보를 계기로 토론회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해 기록관 건립의 밑그림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11일 제주4·3의 진실규명과 화해 과정을 담은 1만 4,673건의 기록물이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됐다.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은 역사적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동시에 추가 기록물 수집, 연구·교육·전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