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이존영 기자 | 농촌진흥청 곽도연 국립식량과학원장은 5월 20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열린 ‘유채 지역 적응 시험 중간 생육 평가회’에 참석해 유채 육성 시험 재배지를 점검하고 현장 목소리를 들었다.
이날 평가회에서는 지역별 재배 환경에 적합한 유채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품종 후보 단계인 계통의 생육을 점검하고, 개발 방향을 설정했다.
유채 재배 농가(현장명예연구관)를 비롯해 유채유 착유 업체, 권역별 담당자, 국립식량과학원 연구진으로 구성된 심사단은 유채 7개 계통과 2개 품종의 생육 상태를 관찰하고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했다.
그 중 ‘목포141호’와 ‘목포151호’가 생육이 좋고 기존 품종인 ‘중모7001’보다 쓰러짐에도 강한 특성을 보여 높게 평가했다.
이날 곽 원장은 올해 전북 지역 유채 작황을 파악하고, 품종 개발 과정에서의 요구사항과 현장 어려움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유채는 경관 작물로써 효용가치도 뛰어나지만, 기능성이 우수한 유채유를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식량자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와 협력해 최근 문제가 되는 5월 강우와 강풍에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 유채 품종 개발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국립식량과학원 소득식량작물연구소는 국내 유채 재배면적 확대와 유채유 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우수 품종을 육성한 끝에 유채 21품종을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꽃이 일찍 피고 꽃 색이 뛰어나 경관용으로 적합한 ‘금별’과 ‘백운’, 재해 저항성이 강하고 씨알(종실) 수확량이 많은 ‘다강’ 3개 신품종을 개발했다.
올해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쓰러짐에 강한 품종 육성을 목표로 전남(소득식량작물연구소), 경남(경남도농업기술원), 전북(부안군농업기술센터) 3개 지역에서 적응성을 시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