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이준석 기자 |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가 오는 10월부터 본사 및 북미 전역 사무직 직원들의 출근 일수를 주 4일로 확대한다. 재택근무 이후 약화된 조직 문화를 회복하고, 실적 부진 속에서 대면 중심 협업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시애틀 본사와 캐나다 토론토 지원센터를 포함한 북미 지역 사무소 직원들에게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총 4일의 사무실 출근을 의무화한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니콜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방침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겠지만, 스타벅스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라며 “우리는 인간적 연결에 뿌리를 둔 회사이며, 다가올 대규모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니콜 CEO는 출근 확대를 원하지 않는 직원에게 현금 보상과 함께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을 제공할 방침도 함께 발표했다. 사실상 "대면 근무가 싫으면 회사를 떠나도 좋다"는 강경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스타벅스는 이미 지난해부터 대면근무 확대를 추진해왔다. 지난해 10월 니콜 CEO는 “주 3일 이상 출근하지 않으면 해고될 수 있다”고 경고했고, 올해 2월에는 1,100명의 감원을 단행하며 수백 개의 공석을 채우지 않는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이번 조치 역시 니콜 CEO의 경영 혁신 전략의 연장선이다. 그는 △메뉴 단순화 △매장 내 고객 경험 개선 △음료 제공 시간 4분 이내 단축 등 현장 중심 개혁을 이끌고 있으며, 이번 출근 강화는 협업과 소통, 사내 문화 회복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유연근무 시대 흐름에 역행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지만, 스타벅스는 팬데믹 이후 침체된 조직력과 성과를 끌어올리기 위해 “대면 회복이 곧 회사의 회복”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