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충북농업기술원은 20일 단양 마늘연구소에서 ‘마늘 우수성과 보고회’를 열고, 기후변화 대응과 농가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팜 기반 마늘 재배 신기술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보고회에는 김문근 단양군수, 조은희 충북농업기술원장, 김덕태 증평군농업기술센터장 등 지자체 관계자와 김치제조 전문회사 예소담 윤두영 회장, 엉뚱한 쉐프 박종원 대표 등 식품 가공회사 관계자, 충북마늘연구회 김성원 회장 및 임원 농가 등이 참석하여 우수성과를 평가하고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행사에서는 마늘연구소에서 개발한 대표 우수성과로 ▲신품종 마늘 5종 ▲비상품성 마늘을 활용한 풋마늘 연중생산 양액재배기술 ▲주아를 활용한 우량종구 양액재배 기술 ▲열풍 차압식 마늘 대량건조시스템 ▲우량종구 대량생산 및 보급을 위한 조직배양 기술 등이 전시 및 시연됐다.
특히, 비상품성 마늘(꼬다마)을 농가보급형 시설하우스내 고설 양액베드에서 양액재배로 30~40일 재배하여 풋마늘로 수확을 할 수 있는 양액재배기술은 연중 6~9회 수확이 가능한데, 재배기간이 짧아 잎이 연하고 식감과 마늘 향이 좋아 풋마늘 김치 등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연계하여 제품화하기에 적합하다. 향후 마늘 부가가치 향상과 지역 특화작목 육성으로 발전시키기 적합한 아이템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주아를 이용한 양액재배 기술은 기존 노지재배 대비 인건비를 8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과 우량 종구 안정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농업기술원 조은희 원장은 “도내 연간 약 2천 톤의 비상품 마늘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연중 생산이 가능한 풋마늘 기술을 통해 가공산업과 연계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산·학·관 협력을 통해 마늘 산업의 체질을 개선하는 한편, 지역 특화작목으로의 성장을 이끌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