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농촌체험휴양마을 성수기 체험활동 100% 즐기기

  • 등록 2025.08.05 12:13:51
크게보기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안성시는 지난 1일, 9월의 서늘한 가을바람과 함께 농촌체험휴양마을의 하절기 성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임을 알렸다.

 

안성시에는 총 8개의 농촌체험휴양마을(과채류마을, 미리내마을, 선비마을, 시기마을, 용설호문화마을, 인처골마을, 청룡마을, 풍산개마을)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마을마다 지역별 특산물과 전통문화를 접목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방문객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하절기 성수기에는 고구마 수확, 허브 비누 만들기, 김치 담그기, 전통 놀이 체험 등 체험과 교육이 어우러진 프로그램들이 주축을 이루며 가족 단위 방문객은 물론 아동·청소년, 농촌문화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 풍부한 농촌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선비마을에서는 고구마 수확 체험과 함께 고구마 경단 만들기, 그리고 조선시대 선비 문화를 재현한 선비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전통문화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미리내마을은 직접 재배한 로즈마리, 페퍼민트 등의 천연 허브를 활용해 물비누 만들기와 음식 만들기(장아찌 등) 체험을 운영하며, 계절별 농산물 수확 체험도 함께 진행해 자연과 함께하는 힐링의 시간을 선사한다.

 

과채류마을에서는 쑥떡 만들기와 풍물 힐링 체험을 통해 전통 식문화와 지역 풍물을 접할 수 있으며 지역민을 대상으로 장구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청룡마을은 전문 김치 강사를 초청한 바우덕이 김치학교를 운영하여 아동과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가치관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고, 숲밧줄놀이 체험을 통해 자연과 가까운 농촌 체험을 진행 중이다.

 

인처골마을은 포도 수확 체험, 마카롱 만들기 체험이 인기다. 특히 올해는 ‘2025년 경기마을 경기진작 사업’에 선정되어 축제 개최비 통합 지원을 받았다.

 

오는 10월 ‘하얀꽃 노란맛’을 주제로 개최되는 메밀꽃·고구마 축제에서 메밀꽃밭 산책길, 고구마 수확 체험, 전통놀이 및 농악 공연 등 다채로운 문화 이벤트가 펼쳐질 예정이다.

 

신기팜 체험마을에서는 포도 수확 체험을 통해 달콤한 농촌 생활을 직접 느껴볼 수 있으며, 수제 잼과 화분 만들기 체험을 운영하여 수확부터 요리까지 자녀들과 함께할 수 있는 친환경 농촌 체험을 즐길 수 있다.

 

풍산개마을은 보리수 쌀을 활용한 찐빵 만들기 체험을 통해 이색적인 농산물 체험과 함께 아동 오감 체험을 제공한다. 보리수가 첨가된 불그스름한 찐빵으로부터 항산화 작용 등 건강 개선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용설호 문화마을은 제철 농산물 수확과 음식 만들기 체험, 목공 체험 등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그 중 천연 염색 체험과 제철 농산물인 딸기 케이크 만들기 체험이 방문객에게 높은 호응을 끌어내고 있다.

 

농촌의 고즈넉한 전통문화 및 식문화 체험과 제철 농산물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안성시 농촌체험휴양마을에서는 미리 체험 예약을 받고 있다.

 

한편, 안성시는 오는 10월 8일 개최 예정인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부스에서도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체험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체험 및 판매 부스 운영 예정이다.

 

안성시 농업정책과 손승수 과장은 “농촌체험휴양마을에서는 우리의 농촌 문화를 대중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 있다”며, “무더위가 물러서는 가을 도입부에 안성을 많이 찾아주셔서 즐거운 경험 만들어 가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강갑수 기자 ggs79@naver.com
Copyright @시민행정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03호 최초등록일 : 2023년 시민행정신문 서울, 아54868 | 등록일 : 2023. 5. 16 | 발행인 : 주식회사 담화미디어그룹 이존영 | 편집인 : 이존영 | 부사장 이정하 | 편집국장 이갑수 | 미국 지사장 김준배 | 종교부장 장규호 전화번호 : 02-3417-1010 | 02-396-5757 Copyright @시민행정신문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