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특별시장, 27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 참석

  • 등록 2025.11.27 17:31:36
크게보기

“용산을 대한민국 미래를 여는 도시 표준 모델로 발전”

 

시민행정신문 강갑수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은 27일 오후 2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열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에 참석해 국가적 도시혁신프로젝트의 본격 도약을 선언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거점의 미래비전을 공유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용산공원~용산역~한강 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 실현을 위한 초대형 도시개발사업으로, ’28년 부지조성공사를 완료해 ’30년 초 기업과 주민 입주를 목표로 한다.

 

이날 행사는 “서울의 심장, 세계의 중심을 움직이다–용산 서울 코어”를 부제로 오 시장을 비롯해 시민, 사업시행자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기념사를 통해 “스스로 길을 찾는 도시, 용감하게 길을 만드는 도시만이 국가 경쟁력을 끌어 올릴 수 있다”며 “서울은 오래전부터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노들섬’, ‘잠실MICE’ 등 공간전략을 새롭게 그리며 미래도시 기반을 착실히 다져왔고, 서울의 중심을 넘어 대한민국 미래 전략의 시작점인 ‘용산’이 오늘 그 변화의 중심에 합류한다”고 말했다.

 

이어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의 미래경쟁력을 결정할 혁신전략 프로젝트로 국가전략, 도시경쟁력, 시민의 삶의 질의 세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도시의 표준모델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글로벌 헤드쿼터 유치를 위한 ‘국제업무존’ ▲업무·상업 등이 결합한 ‘업무복합존’ ▲주거·의료·교육시설 등의 ‘업무지원존’으로 구성된다. 업무, 주거, 여가, 문화 기능을 한데 모아 효율성과 쾌적성을 높이고, 생활에 필요한 이동이 도보권에서 해결되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를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2월, 개발계획을 발표한 이후 서울시가 행정절차와 협업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한 결과 도시개발 평균보다 20개월이나 앞당기는 성과를 냈다.

 

또한 건설 기간 중 약 14만6,000명의 고용과 32조6,000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 조성 이후엔 연간 1만2,000명의 고용과 연간 3조3,000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강갑수 기자 ggs79@naver.com
Copyright @시민행정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03호 최초등록일 : 2023년 시민행정신문 서울, 아54868 | 등록일 : 2023. 5. 16 | 발행인 : 주식회사 담화미디어그룹 이존영 | 편집인 : 이존영 | 부사장 이정하 | 총괄기획실장 김동현| 편집국장 이갑수 | 미국 지사장 김준배 | 선임기자 신형식 | 종교부장 장규호 | 전화번호 : 02-3417-1010 | 02-396-5757 Copyright @시민행정신문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