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행정신문 기자 |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이승우 의원(국민의힘, 기장군2)은 11월 25일 열린 미래기술전략국 예산안심사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동남권 연구본부 설치 계획과 관련해 “부산 유치를 위한 시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울산 단독 추진 움직임에 대한 재검토를 강하게 촉구했다.
이승우 의원은 “ETRI는 대한민국 IT산업의 중추로서, 이미 대구·광주에는 분원이 설치돼 있다”며, “동남권의 거점은 조선해양·기계제조·영상·게임·항노화바이오 등 미래 신산업 기반을 갖춘 부산이 최적지임에도 울산으로만 협약이 진행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장 파워반도체 특화단지, 부산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한 영상·콘텐츠 산업, 해수부 이전 및 해양신기술 기업 유치 등 부산이 가진 전략적 강점은 ETRI의 미래 연구 분야와 정확히 연결된다”며, “부산이 울산과 경남을 견인하는 동남권 중심지 역할을 하기 위해서라도 ETRI 유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의원은 “2026년 타당성 조사에서 위치·규모·총사업비가 모두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결정 시점이 2027년 상반기인 만큼 지금이 부산이 움직일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시가 소극적으로 대응하면 20년 전처럼 또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강하게 우려했다.
이 의원은 과거 부산시가 2005년에도 ETRI 유치를 공식 검토했음에도 실현되지 못했던 점을 언급하며, “이번에도 같은 시행착오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 부산시 미래기술전략국이 사활을 걸고 유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이 의원은 “부산은 기장·강서를 포함해 입지 여건이 충분하다”며 “특히 기장은 파워반도체·바이오·디지털콘텐츠 등 ETRI와 연계 가능한 산업 기반이 집적된 만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기장군과 부산시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협의의 장도 마련하겠다”고 밝히며, 구체적인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이 의원은 “향후 부산시는 △유치전략 별도 수립 △과기부·NST와의 적극 협상 △부산 전략산업과 연계한 패키지 제안 마련 △기장·강서 후보지의 비교 분석 △부담되는 예산구조 재협상 등을 즉시 추진해야 한다”며, “부산이 동남권의 미래 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ETRI 동남권 연구본부 유치를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편, ETRI 동남권 연구본부 설치는 현재 운영계획을 마무리 중이며, 내년 초 NST에 운영계획을 제출한 이후 본격적인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NST는 2026년 하반기 전문기관을 통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 최종 결정은 2027년 상반기에 이루어질 예정으로 부산 유치를 위한 시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