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행정신문 이세훈 기자 | 경기도는 25일 한국은행과 함께 ‘디지털 전환 시대, 서비스업 성장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정과제 ‘서비스업 경쟁력 제고를 통한 내수·수출 활성화’ 의 핵심분야인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업 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정부 정책의 실행 거점으로서 경기도의 역할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한국은행 김민정 경제조사팀장의 ‘온라인 소비확대가 경기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조발제 후 오완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세션별 전문가들이 각 주제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세션1에서 김현학 국민대학교 교수는 ‘경기도 서비스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위한 종합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며 “서비스산업 특화지원 프로그램 신설, 경기도형 ‘디지털 스킬’인력 양성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세션2에서는 김민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장이 ‘경기도 중점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발표를 통해 “제3차 경기도 서비스산업 육성 기본계획은 경기도 서비스업의 디지털 혁신 방안을 담은 연구결과”라며 “디지털 콘텐츠 등 관련 중점 육성 서비스산업분야는 국정과제와 방향성이 맞기에 이와 연계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혜림 가천대학교 교수, 권진우 경기연구원 도시주택연구실장, 채효근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부회장, 김승용 동국대학교 교수, 허예지 경기콘텐츠진흥원 매니저 등 참석자들은 분야별 서비스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제언하면서 “경기도 서비스업의 디지털 전환은 대한민국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에 핵심”이라고 입을 모았다.
경기도는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에 활용하고, 관련 정책과제를 발굴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성기철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서비스업의 디지털 전환은 우리에게 도전이자 동시에 기회”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각 분야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경기도가 대한민국 디지털, AI 시대를 선도하는 서비스 산업의 새로운 길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